식품을 다루는 아르바이트나, 직장을 잡을 생각이면 반드시 거쳐야하는 검사, 보건증!
장티푸스 검사 때문에 조금 부담스러운 검사이기도 한데요. 그래도 필요한 일이니 눈 딱감고 받으러 갑니다.
검사야 물론! 보건소나 검사가 가능한 가까운 병원에서 받아야겠지만, 검사의 결과인 '보건증'은 굳이 직접 보건소를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 저는 정말 얼마전까지만해도 이걸 몰라서.. 보건소를 두번이나 방문해야하는것에 벌써 부담을 엄청 느꼈었답니다.. 진짜 요새 디지털로 못하는게 없는 세상이 된거같네요. 그럼 지금부터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아,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한번더! 인터넷 브라우저에 관한 팁인데요! 저는 평소에는 chrome브라우저를 사용하지만 이런 은행관련 문서, 공공기관관련 문서를 다룰때에는 반드시 Internet explorer를 이용합니다. 크롬이 많이 보편화되긴했지만 그래도 많은 기관에서 Internet explorer를 기준으로 설정을 하는것 같더라구요 ㅠㅠ. 크롬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확률이 높습니다. 참고해주세요!
[STEP 1. 공공보건포털(g-health.kr)접속]

그냥 네이버, 다음, 구글같은 곳에서 검색창에 '공공보건'을 검색하지면 바로 맨위에 뜬답니다.
[STEP 2. 왼쪽 위 '온라인 민원 서비스' 클릭]

[STEP 3. 제증명 발급 항목 클릭!]

[STEP 4. 본인인증을 진행해 주세요!]

[STEP 5. 본인 확인 후 뜨는 팝업창에서 보건증 선택]

저는 이미 발급을 한번 받았었기에 지금 과정을 완료하면 '재발급'으로 저기 목록에 추가 될거예요.
[STEP 6. 신청통수, 주민등록 번호 뒷자리 표시 유무 선택, 용조 작성 후 신청하기 클릭!]

[STEP 7. 발급받기 클릭!]

[STEP 8. 팝업창이 뜨면 왼쪽 위 프린트 버튼 클릭!]

이제 컴퓨터와 연결된 프린터로 보건증이 출력 될겁니. 대장정 끝!
휴 빠르게 발전하는 전자정부 덕분인지 공공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이렇게 집에서 쉽게 발급받을 수 있다는게 신기하기도하고 이젠 너무나도 당연해진거같아 바로 인터넷부터 검색해보게 되는거같아요.
오늘은 보건증 발급에 대해 글을 적어 봤는데요. 꼭 공공보건 홈페이지가 아닌 '행안부'의 '정부24'포털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발급이 가능하니 이부분도 참고해주세요. 오늘도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일상 속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실하게 카톡 차단 확인하는 방법! (0) | 2020.01.24 |
---|---|
카톡 삭제된 메세지 보는법 (0) | 2020.01.24 |
윈도우10 작업표시줄에 검색아이콘/돋보기아이콘 없을때 (0) | 2020.01.23 |
내 컴퓨터 32비트/64비트 확인하기 (윈도우10) (0) | 2020.01.23 |
인터넷/PC로 농협 통장사본 발급받기 (0) | 2020.01.20 |